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23)
티스토리 블로그 글자수 세기 블로그를 작성하다 보면 내가 작성하는 포스팅의 글자 수를 알아야 할 때가 있습니다. 오늘은 브라우저 상에서 내가 작성하고 있는 글자 수를 카운팅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글자수 왜 세어야 할까? 1) 글자 수를 알면 블로거가 게시물의 길이를 측정하는 데 도움이 되며, 이는 가독성 및 SEO 최적화와 같은 다양한 이유로 매우 중요합니다. 너무 짧거나 긴 문장은 정보 전달에 분리할 수 있고 이는 곧 검색 SEO 최적화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2) 때때로 특정 길이의 게시물을 요청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요청을 정확하게 이행하려면 문자 수를 아는 것이 필요합니다. (이력서 등) 대부분 1000자 또는 5000자 정도의 이력서, 자기소개서 등을 요구합니다. 이때는 최대 글자 수의 90% 이상 ..
CapCut PC 사용법 (1) 최근 유튜브 쇼츠(Shorts) 만드는 것에 관심이 있어 CapCut을 자주 사용하고 있습니다. 가끔 CapCut에 대해 자세히 알고 싶은 내용을 검색해도 쓸만한 정보는 없고 광고성 글만 너무 많네요. 😭 유튜브 영상의 소개 자료도 주로 활용법 위주로 설명되어 있어, 저는 완전 초보자들에게 도움이 될만한 내용을 적어 보겠습니다. 가장 핫한 무료 동영상 편집도구 CapCut은 Bytedance Pte. Ltd에서 개발한 무료 동영상 편집 도구입니다.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매력적인 고품질의 동영상과 그래픽을 쉽게 만들 수 있도록 다양한 기능을 제공합니다. (Bytedance는 중국 업체입니다.) CapCut은 Freemium 정책을 가진 도구로, 기본적인 기능은 무료로 사용할 수 있고 일부 기능은 월 또는 년..
Orange 3 소개와 특징 (1) 이번 년도에 노코딩 데이터 분석 강의를 준비하고 있어 이에 대한 소개 글을 작성해 보려합니다. 노코딩 데이터 분석 노코딩(No-coding)은 코딩이나 프로그래밍 언어에 대한 전문 지식 없이도 웹사이트, 애플리케이션 등의 디지털 제품을 만들 수 있는 방법론이나 도구를 지칭합니다. 사용자는 시각적 인터페이스와 드래그 앤 드롭 방식 등을 활용하여 개발할 수 있어, 프로그래밍에 익숙하지 않은 사람들도 쉽게 디지털 제품을 생성할 수 있는 것이 장점이다. 2 ~ 3년 전부터 노코딩을 기반으로 많은 스타트업들이 다양한 제품과 서비스를 출시하고 있다. 노코딩 개발의 중요성 접근성: 노코딩 도구는 비개발자도 쉽게 사용할 수 있어, 더 많은 사람들이 소프트웨어 개발에 참여할 수 있게 해 준다. 시간 및 비용 절약: 복잡..
일상에서 잘못 알고 있는 상식(1) "날씨가 추우면 감기에 걸리기 쉽다" 일반적으로 추운 날씨에 노출되면 감기와 독감이 직접적으로 발생한다고 알려져 있지만, 실제로는 온도가 아닌 바이러스가 이러한 질병의 주요 원인입니다. 하지만 추운 날씨는 사람들이 실내에서 다른 사람과 가까운 곳에서 더 많은 시간을 보내게 하여 바이러스 확산에 간접적으로 기여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전염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인간은 두뇌의 10%만 사용한다" 실제로 현대 신경과학에서는 뇌 전체가 동시에 활동하지는 않지만 다양한 기능에 관여하고 활동한다는 사실을 보여주었습니다. 뇌의 서로 다른 영역은 서로 다른 작업을 담당하며, 겉보기에 평범해 보이는 활동도 동시에 여러 영역에 관여합니다. "야식을 하면 체중이 증가한다" 과도한 칼로리를 섭취하면 체중이 증가할 수 있다..
저관여 상품/제품 저관여(low involvement) 제품은 구매 결정을 내릴 때 일반적으로 소비자의 생각, 노력 또는 고려가 최소한으로 필요한 제품 또는 서비스입니다. 이러한 제품은 일반적으로 저렴하고 자주 구매되며 소비자에게 미치는 위험이 낮습니다. 저관여 제품의 예로는 껌, 스낵, 세면도구, 가정용 청소용품 등 일상용품이 있습니다. 저관여 제품을 정의하는 몇 가지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저렴한 가격: 이러한 제품은 일반적으로 저렴하며 소비자에게 상당한 재정적 투자를 의미하지 않습니다. 의사결정 과정은 비용에 대한 우려로 인해 부담을 느끼지 않습니다. 잦은 구매: 저관여 제품은 빨리 소비되거나 빨리 소모되는 경우가 많아 빈번한 반복 구매로 이어집니다. 소비자들은 별 생각 없이 정기적으로 구매하는 데 익숙합니다..